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세트 표본
  • Museum Shop
  • Fossils
  • Mineral / Gemstone
  • Meteorite
  • Prehistoric Ages
  • Taxidermy
  • Suseok
  • Educational
  • Educational
  • Product Case
  • Portfolio

  • 공지사항
  • 상품 Q&A
  • 상품 사용후기
  • 화석월드 자료실

 
이전 제품 보기 다음 제품 보기 크게보기
추천메일보내기 상품조르기

돌레로바실리쿠스 대한민국 삼엽충(Dolerobasilicus Korea Trilobite)-20120831-3 품절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돌레로바실리쿠스 대한민국 삼엽충(Dolerobasilicus Korea Trilobite)-20120831-3
제조사 Jigunsan Formation
원산지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
소비자가 650,000원
판매가 600,000원
상품코드 P0000TDN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할인판매가 570,000원 (최대 30,000원 할인)
  • 회원할인
SNS 상품홍보
SNS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1개 이하)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돌레로바실리쿠스 대한민국 삼엽충(Dolerobasilicus Korea Trilobite)-20120831-3 수량증가 수량감소 600000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S H O P P I N G - T I P

돌레로바실리쿠스 대한민국 삼엽충(Dolerobasilicus Korea Trilobite)

학 명 (Scientific Name) : 돌레로바실리쿠스 요구센시스 Dolerobasilicus yokusensis (Kobayashi, 1934)

목 명 (Order Name) : Asaphida Salter, 1864

과 명 (Family Name) : Asaphidae Burmeister, 1843

시 대 (Age) : 중기 오르도비스기 (Ordovician, Llandeilo, 462mya)

지층명 (Formation) : 직운산층 (Jigunsan Formation)

산 지 (Locality) :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 (나팔고개)

크기(Size): fossil 78 mm by 37 mm on a 195 mm by 125 mm pair

특 징 (Remarks) : 이 종은 태백지역의 중기 오르도비스기 직운산층에서만 산출된다. 4쌍의 측미간주름, 큰 안검엽, 삼각형 모양의 두부연변, 8개의 흉부체절, 삼각형 모양의 미부, 그리고 20개 이상의 미부축환이 이 종의 특징이다.

 

이와 같은 내용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리나라 삼엽충의 연구는 1934년경 일본의 고생물학자 고바야시에 의해서 연구되었다. 이때느 단순한 학술 목적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자원을 수탈하려는 목적이 강했다. 당시 그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했으므로 오르도비스기의 화석이 수십종이 되는 것으로 연구논문을 작성했고 그에 맞추어 이름도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현재에 들어서면서 서울대 고생물학과(지금은 과가 바뀌었지만) 최덕근교수, 이정구교수, 이동찬교수, 김동희박사, 이승배박사 등 그야말로 철학이 있는 분들이 이 모든 것을 역으로 증명하면서 그 오류들을 바로 잡아가고 계신다. 저와 같은 화석동호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정말 너무 감사한 분들이다. 여기에 나열한 분들은 대부분 강원도 태백이라는 지역에서 몇 개월에서 몇 년까지 숙식을 하면서 5~10센티미터 단위로 세밀하게 관찰하고, 땀으로 목욕하면서 얻어낸 정보로 일본인들이 잘못 연구한 그 많은 오류를 수정하고 발견해낸 분들이다. 이런분들에 의해서 기초과학인 고생물학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수많은 자연사박물관이 만들어졌으며, 공룡엑스포에서부터 영화와 도서까지 만들어지고 있다. 우리들의 숙원인 국립자연사박물관은 아직 없지만 말이다. 사설이 길었다.

 

직운산층 삼엽충(중기 오오도비스기)에 대한 분류학적인 재평가 라는 이동찬교수님의 연구논문을 참고하면 다음과 같은 정리할 수 있다. 이교수의 연구에 사용된 삼엽충화석 표본들은 태백시 나팔고개에 분포하는 직운산층의 하부 3m구간에 채집되었다. 그 표본들은 30여 개의 Protaspides, 200여개의 Meraspides, 그리고 약 2000여 점의 Holaspides 로 이루어져있다.

 

직운산층 Asaphid 삼엽충은 다음의 3 4종으로 재 동정 되었다;

Dolerobasilicus Yokusensis,

Basiliella Kawasakii,

Basiliella Typicalis,

그리고 Ptychopyge Dongjeomensis.

 

Parabasilicus Basiliella Junior Synonym임이 밝혀졌고, 특히 Dolerobasilicus는 다음과 같은 형태적인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A Mesial Ridge on Broad Preglabellar Field, Paradoublural lines on Anterior Fixigenae, and four pairs of Glabellar Furrows. 또한 Parabasilicus Basiliella Junior Synonym임이 밝혀졌고 Basiliella Basilicus로부터 Obsolete하고 Pleurae의 수가 적은 반원형의 Pygidium을 갖는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Dolerobasilicus Yokusensis의 개체발생과정에 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6개의 발생단계가 인지되었다; Early and late stages in Protaspid Period, Earliest, early, and late Meraspid Period, and Holaspid Period. Basiliella Kawasakii의 개체발생단계는 late Meraspid stage early Holaspid stage로 구분되었다.

 

직운산층 Asaphid 삼엽충은 성장을 하면서 Hypostome, Doublure, 그리고 Bacculae에서 특징적인 변화를 보인다. 직운산층 삼엽충의 Hypostome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Doublure에 붙어 있다; Hypostome Upturned Anterior Border Doublure Upturned되고 Indented된 부분위로 올라간 형태로 soft Articulatory Membrane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직운산층 Asaphid 삼엽충들은 개체발생과정동안 Natant Hypostomal Condition을 거치지 않고 계속해서 Conterminant Hypostomal Condition을 유지한다. 특징적으로 직운산층 Asaphid 삼엽충은 early Meraspid stage에서 Plectrate Hypostomal Condition을 거친다. 이러한 변화양상은 Late Cambrian Ceratopygid 삼엽충에서의 계통발생과정에서의 변화와 잘 일치한다.

 

그러나 직운산층 삼엽충 중 Dolerobasilicus Basiliella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Conterminant Hypostomal Condition을 유지한다. Dolerobasilicus Doublure Lateral Portion이 뒤쪽으로 확장되어 Indented Doublure를 보이는 Conterminant Condition을 유지하는 반면 Basiliella Glabella Hypostome이 앞으로 이동하여 Indented Doublure를 보이는 Conterminant Condition을 유지하는 반면 Basiliella Glabella Hypostome이 앞으로 이동하여 Indented Doublure를 보이는 Conterminant Hypostmal Condition을 유지한다.

 

직운산층 Asaphid 삼엽충의 Posterior Axial Furrow는 성장을 하면서 Effaced된다. Furrow Baccula L1 lobe사이에 존재한다. Posterior Fixigenae Adaxial쪽에 있는 Bacculae는 직운산층 삼엽충의 개체발생과정 동안 계속해서 제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직운산층 삼엽충의 Glabella는 계속해서 Rectangular형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opyright © 2010 화석월드 All rights reserved.

상품에 대해 궁금한 점을 해결해 드립니다.

글읽기 권한이 없습니다.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는 출입을 금합니다!

성인인증 하기

상품 Q&A
num category title name date hit
1 문의드립니다 HIT 김지수 2019-04-01 123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

  1. 1

다음 페이지

마지막 페이지

  • 이전 제품

    다음 제품

  •